신용등급 (신용점수제 전환)

신용등급제 폐지 신용점수제 도입 제1금융권 저축은행

- 각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등급[신용등급]2021년 1월 1일 새해를 맞이하면서 등급제에서 점수제전격적인 변화를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1~10등급으로 친숙했던(?) 신용등급을 이제는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신용등급 폐지와 더불어 신용점수제는 무엇인가? 그리고 해당 제도의 전환으로 우리에겐 어떤 변화이익이 있을지, 아래 포스팅에서 면밀히 따져봤습니다.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1. 신용등급 이란?

신용등급 지갑 카드신용등급 영국 여권 돈 지갑신용등급 카드 그림

- 기존의 신용등급 제도란, 나이스지키미·올크레딧개인신용평가회사에서 개인 각각의 신용도를 평가한 등급입니다. 신용거래 연체 유무나 금액 및 기간, 채무 등종합해 평가되며 1등급~10등급까지 분류되어 있습니다.


▼1등급

- 나이스: 900~1000점

- 올크레딧: 942~1000점

 

▼2등급

- 나이스: 870~899점

- 올크레딧: 891~941점

 

▼3등급

- 나이스: 840~869점

- 올크레딧: 832~890점

 

▼4등급

- 나이스: 805~839점

- 올크레딧: 768~831점

 

▼5등급

- 나이스: 750~804점

- 올크레딧: 698~767점

 

 

▼6등급

- 나이스: 665~749점

- 올크레딧: 530~697점

 

▼7등급

- 나이스: 600~664점

- 올크레딧: 530~629점

 

▼8등급

- 나이스: 515~599점

- 올크레딧: 454~529점

 

▼9등급

- 나이스: 445~514점

- 올크레딧: 335~453점

 

▼10등급

- 나이스: 0~444점

- 올크레딧: 0~334점


신용등급 카드 손 여자 얼굴신용등급 결제기 그림 카드신용등급 ATM 남성 카드 현금 인출

*당연한 얘기이지만, 점수가 높고 등급이 높을수록 신용등급이 우수하며 전체 약 54%1~2등급이며, 7등급 이하 저신용14%이기에, 고신용자가 훨씬 많습니다.

 

그렇기에 통상적으로 제1금융권 대출 시에는 중간신용등급6등급까지 마지노 선으로, 여기서 연봉 4,000만 원 이하 서민금융지원 대상자7등급도 가능합니다.

 

 

신용등급은 말그대로 내 자신의 신용을 수치화 한 것이기에, 성인이 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어떠한 명함이나 소개보다 강력한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기본적으로 3~5등급 정도까지 신용등급은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다름아닌 신용카드 발급더 쉽고 유리한 대출 + 비교적 낮은 이자라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신용등급 유로 동전 지폐신용등급 유로 동전 하나 폴란드 은행신용등급 유로지폐 금융 크레딧

당장 7등급 이하저신용등급 대상자가 된다면, 제1금융권은 커녕 은행에 카드발급 부터가 힘들어집니다. 물론 신용불량자가 아니면, 정상적으로 계좌 개설이나 체크카드 발급은 문제가 없으나 딱 [그게 다]입니다.

 

왜냐하면, 은행도 속된 말로 장사를 해야 하기에 당연하게도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을 신용하기 마련이며, 기본적인 대출수 천만 원에서 수 억 원이 오가기에, 검증되는 사람을 통해 최소한의 리스크만 가져가려는 것 입니다.

 

2. 개인신용평가체계 종합적 개선방안

신용점수제 QR코드 스마트폰신용등급 STEUERFREI 도장신용점수제 LOAN APPOVED 론 도장 그림

- 우리 개인신용평가03년도에 있었던 카드사태로 인한 신용불량자 급증으로 인해 본격 도입된 이후,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고 금융감독원은 평가했습니다.


 

국민 경제금융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에 걸맞는 책임성이 부족하다

독과점 구조하, CB사 및 금융회사에 대한 규율체계가 미흡 +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상황

불합리한 평가관행이 지속, 평가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

일괄 평가, 일률적 등급제 등으로 세분화된 리스크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

불합리한 차별 소비자 피해가 지속 +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과 제공 등도 지연

정보화의 진전에 걸맞지 않는 금융권 정보 중심의 평가

금융이용 경험이 부족청년, 주부, 고령층 등 금융이력 부족자 평가상 불이익 발생

금융권 연체 정보과도하게 활용중 > 금융 취약계층의 재기금융경제 생활의 과도한 제약

평가지표 등에 대한 공개가 불충분 + 개인자기정보 결정권 보장도 미흡

개인의 합리적 신용관리어려움 > 평가결과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저하

신용점수제 돈 money 100달러20달러 신용등급 돈다발신용점수제 주식 stock

▽종합: 불합리한 개인신용평가 관행 개선 > 평가의 정확성 제고 > 개인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할 필요성

 

3. 금융업권 평가상 차등 완화

 

- 현황, 대출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채수준 및 신용위험이 증가하면서 신용점수가 하락합니다. 이 하락폭은 이용하는 금융권에 따라 다르며, 특히 제2금융권을 이용할 경우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됩니다(아래 표 참고).


금융권별 대출발생시 등급하락폭

연체율신용위험은 다양한데, 하락폭일률적으로 적용한다는 비판 제기

중도금, 유가증권 담보 대출 등 업권간 신용위험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에도 차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 개선방안: 기존의 이용업권(금융권) , 대출금리 및 유형 등을 반영 > 신용위험을 세분화하여 평가토록 신용등급평가회사의 평가체계를 개선한다.


신용위험이 반영대출금리를 중심으로 평가체계 개편 > 불합리한 업권 차별 완화

제2금융권을 이용했어도 낮은 금리를 적용받는 우량 고객의 경우 > 신용점수 하락폭 완화

▼단, 평가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통계 검증을 통해 매년 대출금리 반영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금리대별 위험도업권별 위험도와 함께 반영해 점수 하락폭을 조정한다

예) 6%이하 대출 이용 > 캐피탈 수준 평가

6~18%이하 중금리 이용 > 캐피탈 또는 저축은행 평균 수준 평가

신용점수제 집 모기지 은행신용등급 집 자동차 가족신용점수제 돈다발 유럽 화폐

*기대효과: 제2금융권 중금리 대출 이용자41만 명신용점수 상승 예상

- 특히, 18% 미만저축은행 중금리를 보유하고 있는 29만 명신용점수약70점(0.9등급) 상승

- 이 중에서 21만 명등급 상승 예상

 

+ 추가: 상기한 중도금이나 유가증권 담보 대출 등 업권별신용위험에 차이가 없을 경우 업권차등을 폐지, 현행 은행권 수준으로 평가

 

*기대효과: 중도금대출자 19만 명 + 유가증권담보대출자 28만 명 점수 상승 예상

- 이 중에서 각각 7.7만 명, 5.9만 명등급 상승 예상

 

 

4. 신용점수제 전환

 

- 현행 개인신용평가등급제로 운영, 리스크 평가세분화되지 못함 > 등급간 절벽효과 발생

*한 등급에만 300~1,000만 명이 넘는 개인이 밀집

*4등급: 633만 명, 5등급 703만 명, 6등급 515만 명 등


신용등급 그림 buy 쇼핑신용점수제 결제기 단말기 카드 마스터 스마트폰세일 은행 쇼핑 신용등급

개선: 미국이나 독일 등의 해외 사례를 감안, 기존의 등급제를 신용점수제로 전환한다(2021년 1월 1일 시행).

기대효과

- 신용점수664점인 A는 기존의 등급제에서는 7등급에 해당대부분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거절 받음

- 점수제로 전환될 시, 6등급과 유사하게 취급 > 일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이 가능해 짐

- 점수제 전환 > 약 240만 명금융소비자연 1% 수준금리절감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됨


이 외, 비금융정보 활용방식 개선·연체정보 등록기준 강화·단기 또는 상거래 연체 이력정보 활용 제한다양한 개인신용평가체계를 이미 개선·실행 중이거나 법령 개정 등을 추진 중 입니다.

 

자세한 내용아래 바로가기와 해당 내용이 상세히 담긴 첨부파일참고 해 보시길 바랍니다.


[TOSS 신용등급제가 점수제로 바뀝니다]

[내년부터 점수제 적용, 무엇이 달라지나]

180130 개인신용평가체계 개선방안 (첨부1) FN.hwp
0.38MB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