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 무료수거 완벽 설명
폐가전제품 무료로 서비스 받는 팁 (알면 참 쉽습니다)
- 가전제품이란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뜻하죠. 작게는 휴대전화, 시계부터 크게는 냉장고, 에어컨 등등 아무리 평범한 집안이라도 집에 이러한 가전제품이 없는 집은 참으로 드물 것입니다.
이 가전제품들은 멀쩡히 잘 돌아갈 때는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돈값 해주는 녀석들이지만, 막상 수명이 다되거나 예기치 못한 사태로 폐가전제품이 되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작은 폐가전제품이면 그나마 버리기 편하지만, 상기한 냉장고나 에어컨, TV 등은 소유주의 상황에 따라서 처리하기 난감한 경우가 생각보다 많답니다.
잠시 예전 얘기를 드리자면, 폐가전을 전국적으로 수거처리활동을 시작한 게 불과 26년 전 얘기입니다.
1994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전국 광역권역 폐가전제품 회수 처리 시스템을 구축해 당시 8개 폐기물 처리 전문업체를 7월 선정해 계약을 맺은 게 시초입니다.
이렇게 수거된 제품은 다시 수리를 거쳐서 판매했는데, 96년 당시 70% 이상 재활용되어서 사회복지시설이나 군부대 등에 기증을 했다고 하는군요.
그러고 보니 저도 군 생활 하던 당시, 생활관에 쓰던 세탁기를 이런 식으로 재활용한 폐가전을 기증받아서 사용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참고로 당시에는 재활용협의회 산하 전국 81곳에 재활용센터가 있어서 수거는 물론이고, 센터에 가면 수리한 텔레비전과 냉장고를 당시 가격으로 3~15만 원, 장롱은 8만 원, 책상은 1만5천~5만 원, 침대는 5~10만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훨씬 간편합니다. 아래에서 폐가전 무료수거를 신청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폐가전 무료수거 방법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는 정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 소관기관으로 재활용 확대와 국민의 불편 해소를 통해, 자원 순환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원내용은 말 그대로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로, 가정에서 배출되는 TV·냉장고·세탁기 등 사용하지 않는 폐가전제품을 수거전담반이 직접 방문하여 무료로 수거하는 서비스입니다.
지원대상은 폐가전제품의 배출을 희망하는 관내 주민으로 전국에서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인터넷이나 전화로 신청하는 방법과 어떤 제품이 폐가전 무료수거가 가능한지, 그리고 주의사항 등을 설명하겠습니다.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사이트로 방문하셔서 일단 폐가전 수거 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화면을 보시면 [수거 예약하기]라는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1단계에서 약관 동의가 나옵니다. 모두 전체동의 하셔야 다음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2단계로 넘어가시면 이렇게 기본정보 입력항목이 나옵니다. 고객명(여러분의 성함), 휴대전화 번호, 전화번호, 집 주소, 주거구분, 배출 희망일자, 특이사항 등을 기재할 메모란 등이 있습니다. 모두 입력하셨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3단계로 가시면 어떤 폐가전을 수거할지 고르시는 항목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서 대형 가전이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이 있겠지요? 여러분이 수거를 바라는 제품을 정확하게 선택해주세요.
참고로 접수 시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아래의 항목을 반드시 숙지하시고, 신청해주세요.
1. 단일수거 가능제품을 배출하시는 경우에는 소형가전품목을(휴대폰 포함) 함께 배출하실 수 있습니다.
2. 단일수거 가능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소형가전품목을 5개 이상 배출 하셔야만 예약할 수 있습니다.
3. 에어컨, 벽걸이 TV, 빔프로젝터, 유무선공유기, 감시카메라는 기본 철거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4. 전기안마기 중 안마의자는 수거가 불가능합니다.
인력으로 수거가 불가한 제품은 배출 주민이 수거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조치하셔야 합니다.
5. 집안 수거 시 고객님의 동행이 필요합니다. (부재 시 집안 수거 불가)
여기서 주의하실 게 일단 2번을 보시면, 소형가전품목은 5개 이상 배출 하셔야 합니다. 4개도 안 됩니다. 무조건 5개 이상부터 소형가전은 수거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3번 항목에서 거론된 에어컨이나 벽걸이 TV 등의 제품들은 쉽게 수거할수 있게 기본철거가 돼 있어야 합니다.
5번은 당연한 얘기겠죠? 집 밖이 아닌 집안에서 수거를 한다면 신청하신 분이 계셔야 합니다. 부재 시 수거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지역마다 수거가 가능한 날짜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번 수거를 놓치게 된다면, 1주일 이상 기다려야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사오니 미리 주의사항을 점검하셔서 수거 그날 확실하게 거둬가실 수 있도록 준비를 해주세요. 3단계까지 확실히 하면 이제 예약이 완료된 것입니다.
컴퓨터로 하는 게 어려우신 분은 모바일이나 콜센터로 전화를 하셔서 예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599-0903으로, 평일인 월요일~금요일 아침 8시부터 저녁 6시(18시)까지 운영됩니다. 이곳에 직접 전화로 상담받고 신청하는 것도 추천해 드립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폐가전 수거 품목과 수거 기준을 아래에 스크린샷으로 올려두겠습니다. 반드시 숙지하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여기서 수거하는 것은 [폐가전]입니다. 전기로 작동하는 제품이므로 장롱이나 피아노, 운동기구 등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은 당연히 수거하지 않습니다.
추가) 해당 폐가전제품 예약시스템에 추가적인 질문이나 불만사항 등을 문의하거나 알리고 싶으신 분은 아래 바로가기를 제가 올려두겠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문의 센터]
'유틸, 유용한 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방법 (해외 직구) (0) | 2020.10.05 |
---|---|
추석 편성표 (특선영화 등) (0) | 2020.09.30 |
광복절 TV 편성표 안내 (0) | 2020.08.15 |
민방위 사이버교육 조회 (2020년 최신) (0) | 2020.07.30 |
IP 주소 변경 방법 (1분이면 충분!) (0) | 2020.07.21 |